Spring MVC

Spring MVC)게시판 만들기 - 웹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부족한 점 고찰

beginner-development 2025. 2. 7. 23:20

게시판 프로젝트의 개발이 완료되었다. 이제는 프로젝트와 연동된 h2 Database를 실행시키고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부터 있었던 Application클래스를 실행하여 실제 웹상에서 제대로 동작하는지를 볼 것이다.

h2 DataBase 연결
BoardPracticeApplication 실행

Controller에서 설정해 주었던 /board를 붙여 http://localhost:8080/board링크를 들어가면

게시판 리스트 페이지

 

게시판 리스트 페이지가 제대로 동작한다! 다음으로 글쓰기를 클릭하여 게시글 작성이 잘 되는지 살펴보자.

게시글 작성 폼 및 리스트에 등록된 게시글

글을 작성하여 작성버튼을 누르면 내용은 모르겠지만 제목은 리스트에 제대로 등록된 것을 볼 수 있다.(잘 보이게 하기위해 사진에 깨끗한이란 효과를 입혔다.)

이제 글 상세 페이지가 제대로 동작하는지와 글 삭제가 제대로 동작하는 지를 확인해보자.

 

상세 페이지를 보면 작성시 입력한 제목과 내용이 제대로 들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. 또한 삭제를 누르면 리스트페이지로 돌아와지면서 작성한 게시글이 사라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마지막으로 수정이 잘 되는지 확인해보자.

 

게시글 수정 및 수정이 완료된 모습
게시글 상세에서 수정하기 클릭

위의 첫번째 사진을 보면 2개의 게시글이 있는데 이 게시글 중 2번째 게시글을 수정하기로 했다. 2번째 게시글의 상세페이지로 들어가서 아래의 이미지처럼 수정하기를 누르면 위의 2번째 사진처럼 작성폼에 내가 썼던 내용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이후 게시글 제목과 게시글 내용 중 내용을 변경하여 수정 버튼을 누른 결과 위의 3번째 사진처럼 내용이 변경되어 저장되었다.

 

 

게시판 프로젝트를 마치며...

이로써 Spring MVC를 활용한 게시판 만들기 프로젝트가 마무리되었다. 내가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부족했고 채워나가야 할 것을 짚어 보자면 Controller 파트에서 @PathVariable 과 @RequestParam의 차이를 아직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이다. 정확하게 말하자면 @PathVariable은 동작하는 것을 보면서 이 어노테이션이 어떻게 쓰이는지 이해했지만 @RequestParam의 이해도가 부족한 것을 절실히 느꼈다. 그리고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김영한 강사님의 강의를 많이 참고했는데 강의에서 말하길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DTO를 만들어서 Repository, Service에 Entity의 직접 노출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. 그래서 게시판 프로젝트에 DTO를 추가해서 리펙토링을

시도하려 했지만 계속되는 오류에 DTO를 Repository와 Service에 연결하는 것은 다음 프로젝트에서 해보기로 하였다. 이 또한 주의깊게 다시 공부할 필요가 있음을 느끼며 다음 게시판 프로젝트에서는 회원가입, 로그인이 가능한 Member의 추가와 RequestParam 어노테이션의 이해, 그리고 DTO의 적용을 목표로 할 것이다.

내가 최종적으로 만들어 보고자 하는 프로젝트는 인터넷방송인들의 아이덴티티가 들어간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판매 페이지를 따라 만들어 보는 것이다.

이 목표를 향해 많이 만들어보고 실패해보면서 더욱 열심히 정진해 나가자! 화이팅!